반응형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history 명령어는 유저 인풋을 라인별로 저장합니다
history를 이용해서 유저가 입력한 정보들을 조회가 가능한데
이는 필요시 삭제를 해주어야 돼서 번거롭습니다
우분투 22.04 기준으로 history를 입력해서 확인 가능하며
history
가장 최근에서 첫번째 명령어 실행 등 좋은 기능도 많습니다
!-1
history -c 를 사용해서 history를 삭제 가능하나
history -c
Trace를 안남기고 싶은 경우 우분투 기준
스페이스를 띄우고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리눅스 OS 별로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echo $HISTOCONTROL 로 history control을 확인해주고
HISTOCONTROL=ignorespace 등으로 바꿔서 우분투와 세팅을 동일하게 가는 것도 가능합니다
echo $HISTOCONTROL
HISTOCONTROL=ignorespace
반응형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VM 우분투 초기 세팅 치트키 Ubuntu 22.04 SpringBoot Postgressql (0) | 2022.11.14 |
---|---|
History에 시간 추가하는 한가지 방법 (0) | 2022.11.03 |
우분투22.04 SSH 설정하고 Putty로 접속하기 (0) | 2022.11.03 |
리눅스 우분투에 고정 아이피 설정하는 두가지 방법(netplan) (0) | 2022.11.03 |
김씨가 VM에서 하는 우분투 22.04 리눅스 초기설정 2가지 (0) | 2022.11.02 |